데이트 폭력이 사회적인 이슈로 부각되면서 데이트 폭력과 함께 이뤄지는 '가스라이팅(gaslighting)' 이라는 용어도 함께 부각됐다. 그리고 가스라이팅 뜻을 궁금해 하는 사람들도 늘어났다. 과연 가스라이팅이란 무엇일까?
가스라이팅 뜻
가스라이팅 뜻은 1938년 영국에서 공연된 연극 '가스 등(Gaslight)'에서 유래했다. 이 작품은 1944년 미국에서 같은 이름의 영화로도 개봉된 바 있다. 가스라이팅이란 상황을 조작해 타인이 자신을 스스로 의심하게 만들어 현실감과 판단력을 잃게 함으로써 상대방을 정신적으로 황폐하게 하고 심리를 지배하는 것을 뜻하는 심리학 용어다.
이러한 가스라이팅은 학대의 일종이며, 정신적 학대의 한 유형이기도 하다. 또한 가정이나 학교, 군대, 직장 등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학대다. 미국에서는 '직장 내 가스라이팅(gaslighting at work)'이라는 말도 널리 쓰이고 있다고 한다.
가스라이팅 유형
가스라이팅 유형은 여러 가지로 나타난다. 거부(피해자의 의견을 받아들이지 않는 것), 반박(피해자의 의견을 믿지 않는 것), 전환(피해자의 생각을 의심하는 것), 경시(피해자의 요구, 감정을 하찮게 여기는 것), 망각(일어난 일을 잊은 척 하거나 부인하는 것)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양식을 통해 극도로 자존감이 낮아진 피해자는 가해자의 생각에 점점 동조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가해자는 점점 편하게 피해자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언어로 피해자에게 정서적 피해를 입히는 것이 가스라이팅이다.
가스라이팅 예시
가스라이팅의 가해자들은 상황 조작으로 상대방의 자아 속에서 자신의 영향력을 확대한다. 이를 통해 피해자의 재산을 빼앗기도 하고, 자기가 원하는 대로 상대방을 조종할 수도 있다. 동정심을 이용해 피해자를 조종하는 소시오패스들도 있다.
가스라이팅 예시로는 대표적으로 이 용어의 유래가 된 연극 '가스 등'에 나오는 등장인물들의 이야기가 대표적이다. 이 작품에서 아내의 재산을 노리고 결혼한 남편은 여러 가지 거짓말로 아내를 끝내 정신병자로 만든다.
남편은 가스 등을 희미하게 켠다. 아내가 어둡다고 하자 남편은 아내가 잘못 본 것이라며 매번 핀잔을 준다. 남편은 주변 환경까지 조작해 아내의 판단력을 점차 흐려지게 만들기도 한다. 아내는 점점 스스로를 믿지 못하고 자책하는 모습을 보이다 극단적으로 남편에게 의지하게 된다. 이것이 대표적인 가스라이팅 예시다.
여기서 '가스 등 효과(gaslight effect)'라는 심리학 용어가 나왔고, 가해자를 '가스라이터(gaslighter)'라고도 부른다.
이것으로 가스라이팅 뜻과 유형, 그리고 가스라이팅 예시에 대해 알아봤다. 지난 글에서는 최근 몇 년 사이 떠오르는 새로운 문화인 '졸혼'에 대해 다뤘다. 졸혼의 의미, 졸혼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자면 지난 글을 참고해도 좋겠다.
'알아두면 좋은 상식과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574돌 한글날. 한글날은 언제부터 공휴일이었을까? (0) | 2020.10.09 |
---|---|
코로나 블루 뜻, 증상과 극복 방법은? (0) | 2020.10.08 |
현택환 교수 노벨 화학상 후보, 수상 가능성은? (0) | 2020.10.07 |
졸혼 뜻, 결혼도 졸업이 되나요? (0) | 2020.10.05 |
윤창호법, 그리고 음주운전 기준과 처벌 (0) | 2020.10.03 |
댓글